오늘의 투자준비 끝!
2025.08.25. (월) by 유진투자증권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최근 파이낸셜 타임즈에서 '스튜어트 커크(Stuart Kirk)'라는 운용역이 작성한 칼럼을 살펴볼게요.
💬 버블 장세의 특징
그는 버블 장세의 특징을 “예상보다 오래 지속되고, 생각보다 크게 오른다”라고 설명했어요. 닷컴버블처럼 단기간 폭등이 아니라 수년간 누적된 과열의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이죠. 현재도 밈 주식 열풍, 인플루언서 주도의 헤지펀드 설립 등 과열 조짐을 보이며, IPO(신규상장)가 시장 수요를 초과해 쏟아지는 시점이 오면 붕괴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어요. 또한, 버블 장세에서 주가가 비합리적일 정도로 크게 오를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 닷컴버블 당시 나스닥은 두 차례에 걸쳐 각각 두 배씩 상승했어요.
🤨 쏠림과 불안감, 그리고 버블
버블 장세의 다른 특징은 소수 종목 쏠림과 FOMO(기회를 놓칠까 두려움)인데요. 자금이 특정 섹터로 몰리면, 수익률 격차가 커지고, 투자자들은 밸류에이션 부담에도 불안하지만 매수에 나서죠. 현재도 AI·기술주 쏠림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낙관과 불편함이 동시에 존재하는 전형적 버블 신호라고 그는 강조했어요. 물론 펀더멘탈로 설명할 수 있지만, 밸류에이션 부담과 정책 리스크 누적으로 버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어요.
버블 장세는 생각보다 오래 지속되고, 주가는 상상 이상으로 올라요. 이성적 투자자조차 FOMO에 흔들리는 순간이 바로 버블의 본질이죠. 지금은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하되, 낙관과 불안 사이에서 균형 있는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 같아요.
|
|
|
by Huh JaeHwan
E-mail: jaehwan.huh@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KOSPI 3,168.73pt ▲26.99
KOSDAQ 782.51pt ▲5.27 |
|
|
대내외 불안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미 정상회담 기대감에 매수세가 이어지며 증시가 상승했어요. 이번 회담에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이 동행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조선·반도체·원전 등 MASGA 프로젝트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고, 최근 부진했던 제약·바이오와 로봇주도 동반 상승했어요.
|
|
|
✔ KOSPI
개인(-4,584) / 외국인(+1,797) / 기관(+1,590) |
✔ KOSDAQ
개인(-286) / 외국인(+447) / 기관(-72) |
|
|
눈에 띄는 특징 섹터 👁️
From Yesterday: 원자력발전소(+3.23%) / 미디어(방송·신문)(+3.02%) / 항공기부품(+2.75%)
From 5 days ago: 건설 대표주(+2.86%) / 미디어(방송·신문)(+2.70%) / 자동차대표주(+2.38%)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연설에서 고용 시장 우려를 언급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자, 증시가 일제히 상승했어요. S&P 500은 대부분의 종목이 올랐고, 특히 최근 하락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가 강하게 반등했어요.
|
|
|
✔ NEW YORK
Dow 45,631(+1.89%)
S&P500 6,466.91(+1.52%)
Nasdaq 21,496.54(+1.88%)
Russell2000 2,361.95(+3.86%)
필라델피아 반도체 5,754.46(+2.70%)
VIX 14.22(-14.34%)
✔ KEY INDICATES
WTI $63.66(+0.22%)
금 선물 $3,417.20(+1.05%)
EUR/USD 1.1726(+0.98%)
10-Yr Bond 4.2600(-1.62%)
US Dollar Index 97.73(-0.90%)
원달러환율 1,393.2원(-5.2원)
|
✔ S&P500
Basic Materials +2.24% Communication Services +1.80% Consumer Cyclical +3.22% Consumer Defensive -0.24% Energy +1.86% Financial +1.65% Healthcare +1.11% Industrials +1.89% Real Estate +1.95% Technology +1.71% Utilities +0.71%
|
|
|
🗽 오늘의 특징주
- NVIDIA(+1.72%) 미국 정부와 중국에 첨단 반도체 칩을 추가 수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였어요.
- Intel(+5.53%) 트럼프 대통령이 10%의 지분을 확보하면서 급등했어요.
|
|
|
E-mail: psj77@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RA(+6.1%), CQQQ(+6.0%), TAN(+5.7%)
- Losers: UNG(-5.3%), VNM(-1.4%), UUP(-1.0%)
🌕 최근 5일 상위/하위
- Gainers: CHIQ(+7.0%), CQQQ(+6.7%), OIH(+6.6%)
- Losers: UNG(-10.0%), VNM(-2.0%), IGV(-1.5%)
🌚 ETF 키워드
- 상승 ETF 키워드: CHINA TECHNOLOGY, SEMI, OIL, CLEAN ENERGY
- 하락 ETF 키워드: NATURAL GAS, VIETNAM, TECHNOLOGY
|
|
|
by Kang SongChul
E-mail: buykkang@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AR 글래스 성장으로 수혜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AR 글래스가 차세대 핵심 디바이스로 주목받으며 메타, 삼성, 애플, 알리바바, 샤오미, 바이두 등 글로벌 빅테크가 속속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요. AR 기기 성장으로 주목 받는 기술 중 LEDoS가 있는데요. 해당 패널 채택 비중이 2024년 18%에서 2030년 44%로 확대될 전망이죠. 사피엔반도체는 이 시장에서 약 70여 개 기업과 NDA(기술·계약 관련 비밀유지계약)를 체결하고, 글로벌 대형 고객사와 개발·공급 계약을 진행 중이죠. 특히 전력 사용 75% 절감, 생산 수율 30% 향상, 원가 50% 절감이라는 경쟁 우위를 확보한 점이 강점으로 꼽혀요.
- LEDoS (LED on Silicon): 실리콘 웨이퍼 위에 LED를 직접 구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AR/VR 기기에 적합
🙌 10배 성장! 사피엔반도체의 도약
이런 시장 상황 속에서 실적도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요.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늘었고, 하반기에도 큰 폭의 성장을 예상해요. 특히 3분기 매출은 2분기의 3배, 4분기는 5배 수준까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며, 올해는 목표하는 손익분기점 달성을 목표로 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수익 성장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보여요.
AR 글래스 시장 확대에 따른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이 성장 모멘텀이 된 상황이에요. 기술력과 실적 성장이 맞물릴 것으로 보여 중장기적으로 주목해도 좋겠어요.
|
|
|
E-mail: jongsun.park@eugenefn.com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 버블 장세의 트리거로 IPO(신규상장)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때를 언급했는데요. 최근 미국 IPO 트렌드를 살펴볼게요. |
|
|
- IPO가 버블 장세 붕괴 신호로 언급되는 이유는, 시장이 감당할 수 있는 수요를 넘어설 만큼 기업들이 한꺼번에 상장에 나서는 상황이 전형적 과열의 징후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트렌드를 보면,
-
미국은 작년 대비 상장 건수와 규모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과거 버블 시기처럼 폭발적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AI·테크 중심으로 프리미엄이 몰리면서, 일부 기업은 펀더멘탈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
국내 시장은 기관 수요예측에서 여전히 흥행과 부진이 엇갈리고 있고, 투자자들의 체감 온도차가 큽니다. 특히 중소형 바이오·테크 기업들이 잇달아 상장을 추진하는 모습은 과열 신호일 수도 있지만, 아직은 전체 시장을 흔들 정도의 ‘IPO 러시’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즉, 현재는 ‘붕괴 직전의 급증 국면’보다는 특정 섹터 쏠림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적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유동성이 더 풀리고 상장이 급격히 늘어난다면, 과거 버블 패턴과 유사하게 위험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합니다.
|
|
|
Insight / 韓증시 / 美증시 / 美ETF / 투자Story / 뉴스앤이슈 / ChatGPT / 데일리아트 |
|
|
In a Roman Osteria (1866)
Carl Bloch
|
|
|
오늘의 The Buzz는 여기까지!
내일은 23~33도이며 흐려요☁️
|
|
|
수록된 내용은 발간자가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로 구성돼 있으나, 최종 투자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 증빙자료로 사용 될 수 없습니다. |
|
|
|